반응형 육아19 아이의 의욕을 없애버리는 말 "빨리 해!" "빨리 해!" 대신 "어떻게 할래?" 의욕을 상실시키는 부모의 말 "빨리 해!" 아이에게 빨리하라는 말을 많이 하면 할수록 아이는 의욕을 점점 더 상실하게 된다고 합니다. 이 말 대신 "어떻게 할래?"라고 질문 형식으로 아이가 스스로 결정하여 행동할 수 있는 질문을 할 때, 아이는 점차 스스로 하는 힘도 길러지게 된다고 합니다. 말 한마디로 아이에게 부정적인 영향과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다시 한번 일깨워줍니다. [교육] - 아이에게 자신감 주는 말 -고마워 [일상] - 자신을 높여주는 대화 방법 2019. 8. 12. 시간일기 만드는 방법 시간일기 만드는 방법 시간일기 만드는 목적 아이 스스로 시간을 계획하고 관리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입니다. 만드는 방법 1. A4 종이를 가로가 긴 쪽으로 높은 뒤 맨 위 중앙에 '시간일기' 라고 적기. 2. 그 밑에는 총 19개의 줄과 8개의 칸으로 '시간일기' 표 그리기. 3. 제일 첫 번째 줄, 처 번째 칸에는 '시간', 옆 칸부터는 월요일부터 일요일까지 각 요일을 적어 놓기. 4. 시간이라고 적은 행 밑으로 각 줄마다 한 시간 단위로 시간 적기. 주의할 점 엄마가 원하는 시간일기가 나오도록 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 스스로 시간일기를 적어볼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지 엄마가 원하는 방향으로 유도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엄마 마음에 들지 않더라도 혼내지 않아야 합니다. 아이가 텔레비전 시청, 게임하기.. 2018. 12. 21. 우리 아이 영어 시작하기 전 이것은 꼭 체크하자. 영어를 시작하기 전에 한글을 떼는 것이 먼저다. 영어책을 읽는 것만큼 우리나라 말 책도 많이 읽는 것이 중요하다고 합니다. 모국어 수준이 높지 않으면 외국어 수준을 높일 수가 없다고 합니다. 모국어를 잘하는 사람이 외국어를 잘하며, 모국어를 읽고 쓰는 능력이 발달하게 되면 높은 외국어 실력에 많은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이렇게 영어를 잘하기 위해서는 먼저 모국어가 뇌 속에 체계적으로 자리 잡혀 있어야 된다는 것입니다. 모국어의 사고력이 발달되어 있지 않다면 다른 나라 언어를 제대로 구사하는 것이 불가능하다고 합니다. 영어를 늦게 시작하였어도 우리말을 잘하면서 한글 문장도 읽을 수 있다면 빠른 아이들의 경우 네 살부터도 외국어 습득 능력이 시작될 수 있다고 합니다. 언어습득 능력 장치가 없어지는 시기는 보.. 2018. 6. 25. 사춘기 여자아이 대폭적인 육아 변화가 필요하다. 6~12세 여자아이의 훈육은 사랑기의 연장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여자아이는 나이에 비해 어른스러운 모습을 보이는 아이도 있지만, 아직 응석을 부린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고 합니다. 아이에 따라서 개인차가 있겠지만, 초등학교 저학년 여자아이는 어떤 아이든지 응석받이라는 것이라고 합니다. 여자아이는 0~6세까지 딸바보가 되어 한없이 사랑을 해주어야 된다고 하는데, 6~12세 역시 아이를 정말 많이 사랑해주도록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단, 0~6세와 달리 6~12세는 훈육기로 확실하게 훈육 또한 시켜야 하는 점이 차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초등학교에 입학한 여자아이는 입학하고 학년마다 반이 바뀌는 것을 통해 자신을 억제하고 규칙에 자신을 맞추어 가는 방법을 배우게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모든 것을 학교에만 .. 2018. 6. 24. 엄마의 인생은 딸의 인생 모델이 된다. 엄마가 행복해야 딸도 행복하다. 딸을 키울 때 가장 중요한 첫 번째 원칙은 엄마 자신이 행복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딸은 같은 성별을 가진 엄마의 삶에서 직접적인 많은 영향을 받는다고 합니다. 즉, 엄마의 인생은 딸의 인생 모델이 된다는 것입니다. 엄마가 매일 즐겁게 생활하면 딸도 인생은 즐겁다는 것을 느끼게 되고 삶에 적극적인 모습을 보인다는 것입니다. 반대로 엄마가 매일 괴롭고 힘들어하는 모습을 보이면 사는 것은 고통스러운 것이다고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게 된다고 합니다. 저도 육아맘이지만 온종일 아이들과 생활하는 것이 솔직히 정말 힘들 때가 많습니다. 아이 아빠는 온종일 놀면서 집 안 청소도 제대로 안 한다고 뭐라고 잔소리를 매일 늘어놓습니다. 정말 24시간 쉬지 않고 가동하는 저에게 쏟아지는 것은 온.. 2018. 6. 23. 기다려주는 부모 어린 시절 유아일 때 아이들은 다양한 자극과 놀이를 통해 많은 것들을 배워나갑니다. 아기가 뒤집기를 하고 기어 다니고 물고 빨고 만지는 행동, 물건을 만지고 망가뜨리고 쌓고 하는 다양한 모든 활동들이 아이에게 학습의 과정이라는 것입니다. 그런데 부모들은 수를 100까지 세는 것에 집중하고, 영어에 집중하여 아이에게 가르치려고 합니다. 10까지 셀 줄 모르는 아이에게 따라 하라면서 하나, 둘, 셋, 넷을 반복적으로 말하라고 하며 가르칩니다. 혹시나 옆집 아이와 비교했을 때 우리 아이가 더 늦다고 생각되면 엄마는 초조해 하며 불안감에 사로잡히게 되면서 아이에게 학습적인 부분에 더 집중하게 되고 결국 학습을 망치는 대표적인 행동을 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교구나 교재, 학습지를 하거나 아이에게 잘하라고 하기 전.. 2018. 6. 22.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